본문 바로가기
경제

2025년 4월 11일 미국 주식 마감시황

by Thanksbro 2025. 4. 11.

📈 2025년 4월 11일 미국 주식 마감시황: 긴축 경계 속 혼조세…기술주는 강세

2025년 4월 11일 금요일, 미국 증시는 연준(Fed)의 긴축 기조 지속 우려기술주 중심의 반발 매수세가 맞물리며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투자자들은 연준 인사의 매파적 발언다음 주 예정된 3월 CPI 발표를 앞두고 신중한 자세를 유지했으며, 그 속에서도 AI·반도체 등 기술주가 시장을 견인하며 일부 지수는 상승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 주요 지수 마감 현황

지수종가등락폭등락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38,371.15 -50.32 -0.13%
S&P 500 5,209.45 +12.57 +0.24%
나스닥 종합지수 16,340.21 +94.18 +0.58%
  • 다우지수는 상대적으로 경기민감주와 금융주 약세로 하락 마감했습니다.
  • S&P 500은 혼조 속에서도 반도체·소프트웨어 중심의 업종 강세로 상승 전환.
  • 나스닥AI 관련주와 대형 기술주 상승세에 힘입어 상대적으로 강한 반등을 기록했습니다.

🏦 연준 긴축 경계감 지속

4월 11일 장중에는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 닐 카슈카리의 인터뷰가 주목받았습니다. 그는 "2025년 금리 인하가 1회 이하일 수도 있다"며, 높은 인플레이션 지속 가능성을 우려했습니다. 이는 최근 발표된 고용·임금 지표의 강세와 맞물려 Fed가 인하보다 동결을 더 오래 유지할 수 있다는 우려를 다시 부각시켰습니다.

이러한 매파적 발언에 따라 채권 금리가 다시 상승했고, 이는 금융주와 경기민감주의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특히 JP모건, 뱅크오브아메리카 등 은행주가 소폭 하락했습니다.


💻 기술주 중심 반등…AI·반도체 강세

반면, 기술주는 전반적으로 강세를 보였습니다. 시장은 지난주 조정 이후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었으며, 특히 AI 수혜주반도체주가 상승 흐름을 주도했습니다.

  • 엔비디아(NVDA): +2.1% 상승. AI 수요 확산에 따른 실적 기대감 여전.
  • AMD: +1.8% 상승. 서버 칩 라인업 확대에 대한 긍정적 평가.
  • 마이크로소프트(MSFT): +0.9% 상승. Azure 기반 AI서비스 성장이 지속.
  • 테슬라(TSLA): +3.3% 급등.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구독모델 확대 발표 기대감.

이외에도 메타(+1.5%), 알파벳(+1.2%), **애플(+0.4%)**도 동반 상승하며 나스닥 강세에 기여했습니다.


💡 섹터별 흐름 요약

섹터등락률특징
반도체 +1.7% 엔비디아·AMD 등 상승 주도
기술 (IT) +0.9% AI·클라우드 수요 기대
에너지 -0.5%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차익실현
금융 -0.6% 금리 급등 부담, 은행주 하락
소비재 -0.3% 경기둔화 우려에 따른 약세

🛢️ 국제 유가 및 금리 동향

  • WTI(서부텍사스산원유): 전일 대비 1.1% 하락한 배럴당 84.82달러
    • 이란-이스라엘 갈등 우려는 유지되었으나, 수요 둔화에 대한 우려가 유가를 압박함.
  • 미 국채 10년물 금리: 4.56%로 상승 마감
    • 연준 인사들의 발언과 함께, 다음 주 CPI 발표 전 긴축 경계감이 채권 매도를 유발

📅 다음 주 주목 이벤트

다음 주는 **4월 15일(현지시간)**에 발표될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핵심입니다. 시장은 전년 대비 3.4%, 근원 CPI 3.7% 예상하고 있으며, 이 수치가 인하 기대감을 자극할지 여부에 따라 향후 증시 방향성이 결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JP모건, 웰스파고, 씨티 등 금융주들의 1분기 실적 발표도 예정되어 있어 실적 시즌의 포문을 여는 중요한 주간이 될 전망입니다.


✅ 

2025년 4월 11일 미국 증시는 긴축 우려와 기술주 반등이라는 상반된 흐름이 혼재되며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특히, 기술주가 시장을 지지하는 핵심 축으로 다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AI와 반도체 관련 수요 전망이 여전히 시장의 신뢰를 받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단기적으로는 3월 CPI 발표와 실적 시즌의 서막이 향후 증시 방향을 결정짓는 핵심 변수로 작용할 것이며, 특히 물가가 예상보다 높게 나올 경우 채권 금리 급등과 기술주 조정이 재차 나타날 수 있어 리스크 관리와 실적 모멘텀 체크가 중요합니다.

👉 기술주 중심의 ETF(예: QQQ, SOXX)는 여전히 강세 모멘텀을 이어가고 있으며, CPI 발표 전후의 변동성 장세에서 매매 타이밍을 유연하게 가져가는 전략도 유효해 보입니다.

 

 

💡 2025년 4월 11일 M7(미국 대표 7대 기술주) 마감시황: AI 기대와 실적 선반영으로 반등

4월 11일(금), 미국 대표 기술주 그룹인 M7(마그니피센트 7: Magnificent Seven) 종목들은 연준 긴축 우려에도 불구하고 강한 반등세를 보이며 시장의 중심을 다시 차지했습니다. 최근 조정 이후 AI 수요와 실적 기대가 다시 부각되면서, 전반적인 기술주 강세 흐름 속에 M7 역시 동반 상승했습니다.


📈 M7 종목별 마감 현황

종목명종가(USD)등락률주요 이슈 요약
애플 (AAPL) 187.62 ▲ +0.4% 중저가 아이폰 라인업 강화 소식
마이크로소프트 (MSFT) 426.58 ▲ +0.9% Azure AI 서비스 성장 기대
알파벳 (GOOGL) 154.19 ▲ +1.2% 구글 클라우드 AI 기능 강화 발표
아마존 (AMZN) 184.41 ▲ +0.6% 프라임데이 확대 전략 발표
엔비디아 (NVDA) 971.65 ▲ +2.1% 데이터센터용 AI칩 수요 지속 호조
메타 (META) 528.34 ▲ +1.5% 메타 AI 플랫폼 공개 앞둔 기대감
테슬라 (TSLA) 178.65 ▲ +3.3% 자율주행 구독모델 기대, 바닥 확인 반등

🔍 종목별 상세 분석

✅ 테슬라(TSLA)

  • +3.3% 급등, 기술주 중 가장 높은 상승률
  • 최근 낙폭이 컸던 만큼 기술적 반등과 함께, 완전 자율주행(FSD) 구독형 서비스 확대 발표가 호재로 작용
  • 중국 시장 점유율 회복 및 사이버트럭 생산 정상화 기대도 부각

✅ 엔비디아(NVDA)

  • +2.1% 상승, AI 대표 수혜주로서 견고한 상승세
  • 1,000달러 돌파를 앞두고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 국방·헬스케어 AI칩 수요 증가 등으로 실적 기대 지속
  • 애널리스트들 사이에서는 "조정은 매수 기회"라는 시각이 지배적

✅ 메타(META)

  • +1.5% 상승, 최근 AI 챗봇 '메타 AI' 플랫폼 확장 발표
  •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주요 서비스에 AI 기능 통합 확대
  • 리얼리티랩 부문 적자 지속에도 광고 매출 성장과 메신저 AI 활용성 확대가 호평

✅ 알파벳(GOOGL)

  • +1.2% 상승, 구글 클라우드에서 Gemini AI 통합 서비스 발표
  • 유튜브 AI 추천 시스템 강화, B2B 클라우드 고객 확보 전략이 주목
  • 일부에서는 차기 실적 시즌에서 광고 회복과 AI 매출 기여 본격화 전망

✅ 마이크로소프트(MSFT)

  • +0.9% 상승, 여전히 가장 안정적인 AI 인프라 보유 기업으로 평가
  • OpenAI 협업 강화, Copilot 활용 증가로 기업 대상 SaaS 매출 기대 상승
  • 월가 분석가들 “AI 전환에 가장 효과적으로 적응 중인 대형 IT 기업”

✅ 아마존(AMZN)

  • +0.6% 상승, 이커머스 성장세 둔화 우려 불구, AWS 매출 회복 기대감
  • 프라임데이 확대 및 물류자동화 시스템 투자에 따른 마진 개선 기대
  • 광고 부문 AI 개인화 추천 시스템 성과도 점차 가시화

✅ 애플(AAPL)

  • +0.4% 상승, M7 중 가장 보수적인 상승폭
  • 중저가형 아이폰 SE 모델 출시 루머, 인도 및 동남아 판매 확대 전략
  • 하반기 MR(혼합현실) 기기 Vision Pro의 추가 공개 일정이 관심

🧠 AI와 실적이 M7의 주요 키워드

M7 종목들은 최근 조정 이후 다시 반등세를 보이고 있으며, 공통적으로 AI 인프라 투자, B2B 수요 확대, 광고 및 클라우드 수익모델 다양화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다음 주부터 본격 시작되는 1분기 실적 시즌에서 이들의 수익성과 성장률이 예상치를 상회할 경우, 주가 재상승의 모멘텀이 강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 투자자 전략 및 전망

  • 단기적으로는 금리와 물가 지표에 따른 변동성이 우려되지만,
  • 중장기적으로는 AI, 클라우드, 자율주행 등 혁신 산업 중심 기업들의 펀더멘털이 매우 견조합니다.
  • 따라서 QQQ, XLK, SOXX 등 기술주 ETF 비중 확대 전략이 유효하며, 특히 실적 발표 전후 개별 주식에 대한 탄력적 매매 전략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