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2025년 4월 10일 한국 주식 마감 시황

by Thanksbro 2025. 4. 10.

2025년 4월 10일 한국 주식 마감 시황: 상호관세 유예 소식에 급등세…2400선 탈환한 코스피

2025년 4월 10일 한국 증시는 글로벌 무역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는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조치 소식에 힘입어 폭등세를 연출하며 하루 만에 시장 분위기를 급반전시켰습니다.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 모두 연중 최대 상승률을 기록하며 주요 지표를 회복했고, 특히 외국인과 기관의 강한 매수세가 증시 반등을 주도했습니다.


📈 코스피 2400선 탈환…151포인트 급등

코스피는 이날 전 거래일보다 151.36포인트(6.60%) 상승한 2445.06에 마감했습니다. 전일 2,293.70까지 밀려나며 투자 심리가 위축됐던 시장은 단 하루 만에 활기를 되찾았고, 2400선도 가볍게 회복했습니다. 이는 2023년 이후 최대 상승폭 중 하나로 기록됩니다.

  • 거래대금: 약 14.2조 원
  • 외국인 순매수: 3,284억 원
  • 기관 순매수: 7,200억 원
  • 개인 순매도: 1조 1,213억 원

특히 기관의 대규모 순매수가 눈에 띄었습니다. 지난 며칠간 시장이 불안정한 흐름을 보이자 기관이 눈치를 보며 매수를 주저하는 모습이었는데, 이번엔 빠르게 방향을 바꾸며 공격적인 매수에 나선 점이 인상적입니다.


📊 코스닥도 5% 이상 상승…700선 재도전

코스닥 지수 역시 이날 38.40포인트(5.97%) 오른 681.79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특히 그동안 상승 탄력이 약했던 중소형주와 성장주들이 이날 대거 반등에 성공하면서 코스닥의 반등 흐름을 주도했습니다.

  • 거래대금: 약 9.8조 원
  • 기관 순매수: 2,011억 원
  • 외국인 순매수: 1,074억 원
  • 개인 순매도: 2,993억 원

중소형 기술주에 대한 외국인의 저가 매수세가 코스닥 반등의 중심에 있었습니다. 바이오, 반도체 장비, IT 부품주들이 일제히 강세를 보였습니다.


💥 주요 종목별 동향: 삼성전자·SK하이닉스 ‘폭등’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은 대부분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하며 증시 반등을 이끌었습니다. 특히 미국과의 무역 리스크가 해소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수출주, 반도체주 중심의 강세가 돋보였습니다.

  • 삼성전자: 6.42% 상승한 56,300원
  • SK하이닉스: 11.03% 상승한 182,500원
  • LG에너지솔루션: 11.31% 상승
  • 삼성SDI: 8.59% 상승
  • 현대차: 4.83% 상승
  • 포스코홀딩스: 6.77% 상승

특히 SK하이닉스는 전날까지 급락세를 보였던 만큼 반등폭도 컸습니다. 미국발 관세 우려가 완화되면서 낸드플래시, DRAM 등 반도체 수출에 대한 우려가 줄어들었고, 외국인의 매수세가 집중됐습니다.


🔍 업종별 동향: 반도체·2차전지·방산주 ‘트리플 강세’

이번 반등장에서 가장 돋보였던 업종은 단연코 반도체, 2차전지, 방산이었습니다.

  • 반도체: 미국 관세 유예 소식으로 수출 불확실성 감소
  • 2차전지: 유럽과 미국 시장 회복 기대감 재부각
  • 방산주: 트럼프 정부의 국방예산 증액 전망 수혜

이외에도 전력기기, 스마트폰 부품, 태양광 장비 등 수출 민감 업종들이 동반 상승하며 시장을 끌어올렸습니다.


🌐 증시 급등 배경: “트럼프, 상호관세 90일 유예 발표”

이번 장세의 핵심 동력은 단연코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조치입니다. 전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을 제외한 대부분 국가에 대해 상호관세 부과를 90일 유예하고, 기본 관세율도 10%로 완화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소식은 글로벌 공급망 불안 완화, 교역량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며 글로벌 증시에 전반적인 긍정 효과를 미쳤습니다. 한국처럼 수출 의존도가 높은 경제의 경우, 이같은 무역 긴장 완화 소식은 곧바로 투자심리 개선으로 이어졌습니다.


📌 투자자 체크포인트

  1. 기술적 반등인가, 추세 반전인가: 하루 반등으로 추세 전환을 판단하긴 이르며, 이번 주와 다음 주 글로벌 경제 지표 및 미국 CPI 발표 등에 따라 추가 방향성이 결정될 전망입니다.
  2. 외국인 수급의 복귀: 오늘 외국인은 코스피·코스닥 합산 약 4,300억 원을 순매수하며 반년 만에 가장 강한 수급을 보여줬습니다. 이 흐름이 지속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3. 변동성 확대 가능성: 트럼프의 정책은 예측 불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중장기 전략과 단기 리스크 관리가 병행되어야 합니다.

📝

2025년 4월 10일 한국 증시는 트럼프발 관세 유예 소식이라는 외부 호재에 의해 강력한 상승세를 연출했습니다. 오랜만에 활력을 되찾은 주식 시장은 기술적 반등 이상의 의미를 보여주고 있으며, 향후 정책 방향성과 글로벌 지표 발표에 따라 추세 전환 여부가 가려질 것입니다.

투자자들은 이번 반등을 냉정히 바라보며 추가 상승에 대한 전략적 대응과 함께, 보수적인 포트폴리오 리밸런싱도 고려해보는 것이 바람직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