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완전 정복 🔍
테슬라 팔고 웃었는데, 국세청이 웃는다?
요즘 해외주식 투자 안 하는 분 찾기가 더 어려울 정도예요. 애플, 테슬라,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뉴스만 보면 주가가 쭉쭉 오르니 안 사고는 못 버티죠. 그런데, 수익이 났다면? 잊지 말아야 할 게 있습니다. 바로 **‘해외주식 양도소득세’**예요.
이 세금, 제대로 알지 못하면 나중에 가산세 폭탄을 맞을 수도 있어요. 오늘은 해외주식 투자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양도소득세의 모든 것을 쉽고, 구체적으로 정리해드릴게요.
🔹 1.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란?
먼저, 개념부터 간단하게 정리할게요.
해외주식을 팔아서 수익(=차익)을 얻었을 때 부과되는 세금이에요.
이게 국내주식과 다른 점인데요. 국내 상장 주식은 양도소득세가 대부분 면제지만, 해외주식은 소액 투자자도 세금을 내야 합니다.
🔹 2. 세율은? 얼마나 내야 하나요?
세율은 단순합니다.
- 양도차익의 20%
-
- 지방소득세 2%
▶ 총 22% 부과
- 지방소득세 2%
💡 단, 기본공제 250만 원까지는 비과세예요!
✅ 예시 1) 실제로 얼마나 나올까?
- ✅ A씨는 2024년 테슬라 주식을 사서 수익 500만 원을 얻었어요.
- 기본 공제 250만 원을 뺀 250만 원이 과세 대상
- 250만 원 × 22% = 55만 원 세금
500만 원 벌고 55만 원 세금 내는 셈이에요.
🔹 3. 세금 계산 방법은?
해외주식은 원화 기준으로 계산해요. 즉, 매수 시점과 매도 시점의 환율까지 고려해야 하죠.
🔸 계산 공식
✅ 예시 2) 실제 투자 사례
- A씨는 2024년 1월 테슬라 10주를 $100씩 = $1,000에 매수
- 2024년 10월에 $150씩 = $1,500에 매도
- 환율은 매수시 1,300원 / 매도시 1,400원
- 수수료는 총 2만 원
💰 계산 순서
- 매수 금액: $1,000 × 1,300 = 1,300,000원
- 매도 금액: $1,500 × 1,400 = 2,100,000원
- 수익: 2,100,000 - 1,300,000 - 20,000 = 780,000원
- 공제 250만 원에 미달 → 세금 없음
👉 환율에 따라 수익이 더 크거나 작아질 수 있어요! 이 환차익/환차손까지 정확히 계산해야 하죠.
🔹 4. 언제, 어떻게 신고하나요?
✅ 신고 기간:
매년 5월 1일 ~ 5월 31일
- 2024년 수익 → 2025년 5월에 신고
- 홈택스에서 본인이 직접 하거나 세무사에게 의뢰
✅ 필요한 서류
- 거래내역서 (증권사에서 다운로드 가능)
- 환율 계산 내역 (국세청 고시 환율 기준)
- 수수료 포함 여부 확인
- 기타 입증자료 (해외 거래라 국세청이 확인이 어려움)
👉 미신고하면 가산세 붙어요. 무신고 가산세 20% + 납부불성실 9.125% (2024 기준)
🔹 5. 절세 팁 총정리! 💡
✅ 공제 활용 | 연 250만 원까지 공제 가능 – 초과하지 않으면 세금 없음 |
✅ 가족 명의 분산 투자 | 배우자/자녀 명의로 분산하면 각각 250만 원 공제 가능 |
✅ 손실도 신고 | 손실 신고하면 이후 5년간 이익과 상계 가능 |
✅ 매도 시기 분산 | 연도별로 나눠 매도하면 공제 중복 적용 가능 |
✅ 환차익 관리 | 환율이 유리할 때 매도해 환차익 증가 가능 |
🔹 6. 자주 묻는 질문 (FAQ)
Q. 250만 원 넘었는데도 신고 안 하면 걸릴까요?
👉 요즘 증권사 거래내역은 국세청에 자동으로 전달됩니다. 걸립니다.
Q. 해외 ETF나 리츠도 포함되나요?
👉 해외 상장 ETF, 리츠도 양도세 대상입니다.
Q. 미국에서 배당도 받았는데요?
👉 배당은 **‘배당소득세’**로 구분되며,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입니다.
'경제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 투자, 지금이 기회일까? (0) | 2025.04.01 |
---|---|
환테크란? 돈 버는 또 다른 방법, 환율로 수익내기! (5) | 2025.04.01 |
2025년 4월 1일 미국 증시 마감시황 (2) | 2025.04.01 |
2025 부동산 전망 (#4 강동구) (3) | 2025.03.30 |
2025년 4월, 공매도 재개! 한국 주식시장엔 어떤 영향이 (2) | 2025.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