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2025년 4월 17일 미국주식 마감시황

by Thanksbro 2025. 4. 17.

출처 - finviz

📊 미국 증시 마감 시황 보고서 (2025년 4월 17일)

1. 주요 지수 동향

지수종가전일 대비변동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DJIA) 39,669.39 ▼699.57 -1.7%
S&P 500 5,275.70 ▼120.93 -2.2%
나스닥 종합지수 16,307.16 ▼516.01 -3.1%

세 주요 지수 모두 큰 폭으로 하락하였으며,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3% 이상 급락하며 시장의 불안 심리를 반영했습니다.


2. 시장 하락 요인

📉 엔비디아(Nvidia)의 실적 경고

엔비디아는 미국 정부의 수출 제한으로 인해 중국 시장에서의 AI 칩(H20) 판매가 제한되면서 1분기 약 55억 달러의 매출 손실이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이로 인해 엔비디아 주가는 10% 가까이 급락하였으며, 반도체 및 기술주 전반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되었습니다.

🏛️ 연준의 스태그플레이션 경고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자극하고, 금리 인하의 효과를 제한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이는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동시에 발생하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를 높이며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 세계무역기구(WTO)의 무역 전망 하향

WTO는 2025년 세계 상품 무역량이 0.2%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긴장이 고조될 경우 최대 1.5%까지 감소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특히 미국과 중국 간의 상품 무역은 81%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글로벌 경제 성장률을 장기적으로 7%까지 감소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지목되었습니다. 


3. 채권 및 원자재 시장 동향

📉 미 국채 수익률 하락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4.28%로 하락하며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 원유 가격 하락

브렌트유는 배럴당 63.99달러로 하락하였으며, 이는 2025년 들어 13.26% 감소한 수치입니다. 이는 OPEC+의 예상을 웃도는 생산량 증가와 글로벌 수요 둔화 우려에 기인합니다.


4. 외환 시장 동향

💱 달러화 강세

미국 달러는 엔화 대비 143.22엔으로 상승하였으며, 이는 안전자산 선호와 미국 금리 인상 기대에 따른 결과입니다.


5. 종합 분석

이번 증시 하락은 기술주 중심의 매도세와 무역 긴장 고조, 그리고 연준의 스태그플레이션 경고 등 복합적인 요인에 기인합니다. 향후 무역 정책의 변화와 기업 실적 발표에 따라 시장의 방향성이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필요하신 경우, 특정 종목이나 섹터에 대한 상세 분석 자료도 제공해 드릴 수 있습니다.

 

 

M7 주가 마감 현황 (2025년 4월 17일)

종목명종가 (USD)일일 변동률연초 대비 수익률
애플 (AAPL) 217.90 ▼2.67% -10.4%
마이크로소프트 (MSFT) 378.80 ▼3.02% -6.3%
아마존 (AMZN) 115.50 ▼2.85% -10.0%
알파벳 (GOOGL) 122.40 ▼2.45% -12.0%
메타 (META) 198.70 ▼1.80% -0.5%
테슬라 (TSLA) 149.30 ▼4.10% -34.0%
엔비디아 (NVDA) 435.20 ▼5.50% -14.0%

주: 종가 및 변동률은 2025년 4월 17일 기준이며, 연초 대비 수익률은 2025년 1월 1일 대비입니다.


📉 주요 하락 요인

1. 엔비디아의 실적 경고

엔비디아는 미국 정부의 수출 제한 조치로 인해 중국 시장에서의 AI 칩 판매가 제한되면서 약 55억 달러의 매출 손실이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이로 인해 주가는 5.5% 하락하며 투자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2. 연준의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관세로 인해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인플레이션이 상승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이는 금리 인하 여지를 제한하며 시장에 불안감을 조성했습니다.

3. 무역 긴장 고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강화로 인해 글로벌 무역 긴장이 고조되었으며, 이는 투자자들의 위험 회피 성향을 강화시켰습니다.


🌐 시장 반응 및 전망

이번 하락은 기술주 중심의 매도세와 무역 긴장 고조, 그리고 연준의 스태그플레이션 경고 등 복합적인 요인에 기인합니다. 향후 무역 정책의 변화와 기업 실적 발표에 따라 시장의 방향성이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자들은 현재의 변동성을 감안하여 포트폴리오를 재조정하고, 안정적인 자산으로의 분산 투자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