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슈

2025년, 한국 AI 산업을 대표하는 기업들

by Thanksbro 2025. 4. 6.

2025년, 한국 AI 산업을 대표하는 기업들 – 미래를 이끄는 주역들
출처 - 네이버

2025년, 한국 AI 산업을 대표하는 기업들 – 미래를 이끄는 주역들

2025년, 인공지능(AI)은 더 이상 먼 미래의 기술이 아닙니다. 일상생활은 물론, 산업 전반에 걸쳐 AI의 영향력은 갈수록 커지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글로벌 기업뿐 아니라 한국의 유망한 AI 기업들도 빠르게 성장하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은 정부의 적극적인 R&D 투자, 인재 양성, 규제 완화 등의 지원 아래 AI 기술력과 산업 경쟁력이 가파르게 향상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현재, 한국 AI 산업을 대표하는 주요 기업들을 소개하며, 이들이 어떤 방식으로 국내외 AI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네이버 – 하이퍼클로바X로 본격적인 글로벌 AI 전쟁 돌입

한국을 대표하는 인터넷 기업 네이버는 AI 분야에서도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2021년 자체 개발한 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의 후속작인 **‘하이퍼클로바X’**를 2023년에 출시한 이후, 네이버는 한국형 AI 생태계의 구심점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하이퍼클로바X는 한국어에 특화된 언어모델로, 기존 글로벌 모델 대비 맥락 이해력과 한국어 처리 정확도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네이버 검색, 쇼핑, 뉴스, 파파고, 클로바노트 등 주요 서비스에 AI가 깊이 내재화되었고, 2024년부터는 클로바 스튜디오를 통해 기업 고객 대상으로 AI API 및 솔루션을 제공하며 B2B 사업을 확장 중입니다.

특히 최근에는 일본, 동남아 시장을 중심으로 현지어 언어모델 개발에 나서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입지를 넓히고 있어, 한국을 넘어 아시아 AI 허브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 하이퍼클로바X로 AI 플랫폼 기업으로 진화

1. 기업 개요 및 AI 비전

네이버는 국내 최대 포털 기반 인터넷 기업으로 출발했지만, 2020년대 중반에 들어서면서 AI 플랫폼 기업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Search & AI’를 핵심 전략으로 삼아, 검색엔진과 생성형 AI의 융합을 통해 사용자 경험을 혁신하고 있습니다.

2. 핵심 AI 기술 및 서비스

  • HyperCLOVA X: 한국어 기반 초거대 언어모델(LLM). GPT-4 대비 한국어 이해력에 강점.
  • 클로바 스튜디오: B2B용 AI 솔루션 제공 플랫폼. 문서 요약, 번역, 채팅봇 등의 API 제공.
  • 파파고: AI 번역 서비스. 특히 일본어·중국어에서 높은 정확도 유지.
  • 네이버 검색+AI 요약: 실시간 이슈에 대한 AI 기반 요약 및 분석 제공.

3. 최근 주요 성과 (2024~2025)

  • 하이퍼클로바X의 아시아 언어 버전(일본어, 베트남어 등) 상용화
  • 클로바 스튜디오 도입 기업 수 5,000곳 돌파 (2025년 1분기 기준)
  • 네이버 AI 번역·요약 서비스, 공공기관 및 언론사에 납품 시작
  • 일본·동남아 시장 AI SaaS 진출 가속화

4. 글로벌 경쟁력 및 성장 전략

  • 일본 라인(LINE)과의 시너지로 일본 시장 AI 진출 기반 확보
  • 하이퍼클로바X를 통해 GPT 대안 모델로서 아시아 언어 특화 LLM 시장 선점
  • 네이버클라우드 기반으로 AI API 글로벌 배포 추진

5. 향후 전망 및 리스크 요인

  • 강점: 한국어 기반 AI 생태계 구축, 정부 및 기업 수요 증가
  • 리스크: OpenAI, 구글과의 기술 격차, 글로벌 LLM 경쟁 심화

2. 삼성전자 – AI 반도체와 디바이스의 핵심 플레이어

삼성전자는 AI 기술을 자체 서비스보다는 하드웨어와 시스템 차원에서 구현하는 기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AI 연산 최적화를 위한 NPU(Neural Processing Unit) 기술은 2025년 스마트폰, 가전, 차량용 반도체 등 다양한 디바이스에 탑재되고 있으며, 최근 출시한 엑시노스 2500 칩셋은 고성능 AI 연산에서 글로벌 경쟁사 대비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또한,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도 HBM3E, PIM(Processing-In-Memory) 등 AI 워크로드에 최적화된 차세대 메모리를 공급하며, NVIDIA, 구글, MS 등과 전략적 협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삼성리서치를 통해 자체 AI 모델 개발도 진행 중이며, 스마트폰 내 온디바이스 AI, TV의 음성인식, 스마트싱스 플랫폼 등 다양한 제품에 AI가 깊숙이 녹아들고 있습니다.

 

✅AI 반도체부터 온디바이스 AI까지, 기술 인프라의 중심

1. 기업 개요 및 AI 비전

삼성전자는 AI를 **“제품 고도화 + 플랫폼화”**의 양축으로 접근하고 있는 대표적인 글로벌 IT 기업입니다. 직접적인 생성형 AI 서비스보다는, AI 연산을 가능하게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플랫폼 구축에 중점을 둡니다.

비전은 “모든 디바이스에 AI를 내장하고, AI 중심의 컴퓨팅 생태계를 주도하겠다”는 것으로 요약됩니다. 

 

2. 핵심 AI 기술 및 서비스

  • NPU(Neural Processing Unit): 스마트폰, 가전, 자율주행에 탑재되는 AI 연산 전용 프로세서.
  • Exynos 2500 SoC: 2025년 출시, 3나노 공정 기반으로 LLM 온디바이스 처리 가능.
  • SmartThings + AIoT: 가전제품 간 연결을 AI로 자동 제어 (에너지 절약, 사용자 맞춤).
  • AI 반도체 메모리: HBM3E, PIM 기술로 AI 서버 성능 향상. NVIDIA, AMD, 구글과 협력.

삼성 리서치의 Gauss: 자체 생성형 AI 모델 개발 중. 2024년 사내 이메일/문서 작성에 적용.

 

3. 최근 주요 성과 (2024~2025)

  • Exynos 2500, 최신 갤럭시 모델에 탑재 → LLM 연산 성능 40% 향상
  • AI 기반 이미지 인식 칩셋, 전장부품(Harman)과 연계해 자율주행 시스템 공급
  • NVIDIA와 HBM 공급계약 체결, 연간 수익 20% 증가 예상

AI 스마트폰 ‘갤럭시 AI’ 기능 출시 → 실시간 번역, 이미지 편집 자동화

 

4. 글로벌 경쟁력 및 성장 전략

  • 세계 1위 메모리 공급업체로서 AI 데이터센터 수요의 중심
  • AI 연산 최적화 칩 개발 통해 온디바이스 AI 경쟁력 확보
  • 삼성리서치의 글로벌 R&D 센터 (美, 英, 印, 中 등) 통한 기술 내재화

AI SoC 독립화 전략: 구글·퀄컴 의존 줄이고 자체 생태계 강화 중

 

5. 향후 전망 및 리스크 요인

  • 강점: 반도체 수직계열화, AI 칩 기술 내재화, 글로벌 제조력
  • 리스크: 생성형 AI 자체 서비스는 상대적 약세, 미국의 수출 규제 영향 가능성

3. LG AI Research – 초거대 AI ‘엑사원(EXAONE)’의 도전

LG는 2020년부터 본격적으로 AI를 그룹 차원의 전략 자산으로 삼고, 2021년에는 LG AI Research를 설립했습니다. 이곳에서 개발된 초거대 AI ‘엑사원(EXAONE)’은 3000억 개의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텍스트와 이미지 동시 처리 능력을 보유한 멀티모달 AI입니다.

2025년 현재 엑사원은 LG전자, LG화학, LG에너지솔루션 등 그룹 계열사의 연구개발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으며, 재료 시뮬레이션, 배터리 효율 최적화, 고객 응대 자동화 등에서 이미 수익성과 효율성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LG AI Research는 최근에는 AI 윤리, 공정성, 지속가능성에 초점을 맞춘 ESG 기반의 AI 개발도 병행 중이며, 글로벌 논문 발표와 국제 협업에도 활발히 참여하고 있습니다.

 

✅그룹 혁신을 이끄는 초거대 AI 'EXAONE'

1. 기업 개요 및 AI 비전

LG AI Research는 LG그룹의 연구개발(R&D) 혁신을 목표로 2020년에 설립된 AI 전문 연구소입니다. LG는 AI를 통해 제품 개발 속도 단축, 비용 절감, 정밀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구현하고 있으며, “AI for Business, AI for Science”라는 이중 전략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2. 핵심 AI 기술 및 서비스

  • EXAONE (엑사원): 2021년 공개된 초거대 멀티모달 AI 모델. 텍스트 + 이미지 동시 처리 가능.
  • AI for Materials: 신소재 탐색 및 배터리 조성 최적화를 위한 생성형 AI.
  • AI for R&D Automation: 실험 데이터 요약, 논문 자동 생성, 공정 제어 시스템에 활용.

AI 콜센터: LG U+, LG전자 고객상담에 AI 상담사 상용화.

AI 디자인: TV, 냉장고, 패널 등 디자인 생성형 도구로 사용 중.

 

3. 최근 주요 성과 (2024~2025)

  • EXAONE 2.0 버전 공개, 파라미터 수 4배 증가
  • LG화학과 공동 개발한 신소재 탐색 AI, 특허 등록 증가율 30%
  • AI 이미지 생성 기술, LG전자 TV·패널 디자인 자동화에 적용

논문 수출입 자동 요약기, 내부 교육/문서화 비용 25% 절감

 

4. 글로벌 경쟁력 및 성장 전략

  • 산업 특화 AI 모델로 경쟁 → 일반용 LLM과 차별화
  • 배터리, 소재, 반도체 등 그룹 주요 분야와 AI 시너지를 통해 R&D 효율화
  • 글로벌 AI 학회 참여 및 논문 발표 확대

미국 MIT, 스탠퍼드와 협력 연구 체계 운영

 

5. 향후 전망 및 리스크 요인

  • 강점: 그룹 계열사와 연계된 안정적 수요, 산업 특화 AI 기술
  • 리스크: 일반 사용자 대상 B2C AI 활용 한계, 외부 매출 비중 낮음

4. 카카오브레인 – AI 이미지·음성 생성의 선두주자

카카오의 AI 전문 자회사인 카카오브레인은 이미지 생성 AI ‘칼로(Karlo)’, 텍스트 생성 AI ‘KoGPT’, 음성 합성 기술 등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Karlo는 2024년부터 카카오톡, 카카오엔터, 픽코마 등 다양한 플랫폼에 적용되어 실시간 이미지 생성, 콘텐츠 제작 자동화에 활용되며 상용화에 성공했습니다.

또한, 오픈소스 기반 AI 생태계에 기여하며 연구자 및 스타트업과의 협업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어, 기술 기반 스타트업 육성과 AI 기술 민주화에도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카카오워크 및 카카오T에 생성형 AI 비서 기능을 탑재하면서 B2B 시장 확장도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 생성형 AI 대중화의 선두주자

1. 기업 개요 및 AI 비전

카카오브레인은 2017년 설립된 카카오의 AI 전문 자회사로, **“사람과 기술의 공존”**을 목표로 생성형 AI 기술 연구 및 상용화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생성형 AI 모델을 오픈소스로 배포하거나, 카카오 생태계에 직접 적용해 일상에서 쉽게 쓰이는 AI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2. 핵심 AI 기술 및 서비스

  • KoGPT: 한국어 특화 GPT 기반 언어 모델. 챗봇, 요약, 질문응답 등에 활용.
  • Karlo: 이미지 생성 AI. 미드저니와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며, 창작에 초점.
  • B2B API 플랫폼: 문서 생성, AI 채팅, 이미지 생성 기능을 API 형태로 제공.
  • 카카오워크 AI 비서: KoGPT 기반의 스마트 업무 비서, 일정/메일 자동화 기능 탑재.

카카오톡 AI 추천: 채팅 콘텐츠에 따른 자동 이모티콘, 뉴스, 쇼핑 추천 적용.

 

3. 최근 주요 성과 (2024~2025)

  • Karlo 2.0, 카카오픽코마에 접목되어 웹툰 자동 작화 시범 적용
  • 카카오워크 AI 비서, 500개 이상 기업 도입
  • 카카오톡 콘텐츠 추천 AI, 사용자 참여율 12% 증가

GPT API 한국어 모델 경쟁력 평가, GPT-3.5 대비 국문 처리 속도 우위 확보


5. 뷰노, 루닛 – 의료 AI의 글로벌 주자

AI 기반 의료 진단 솔루션을 개발하는 **뷰노(VUNO)**와 **루닛(Lunit)**은 한국을 넘어 글로벌 의료 AI 시장에서도 강한 존재감을 보이고 있습니다.

뷰노는 심전도 분석, 흉부 X-ray 분석, 뇌출혈 자동 탐지 등 다양한 영상 기반 진단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외 병원에서 실제 임상 적용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습니다.

루닛은 특히 AI 기반 유방암, 폐암 진단 솔루션으로 유명하며, 2024년 기준 전 세계 40개국 이상에 수출되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확대하며, AI 진단을 넘어서 치료 예후 예측, 정밀의료 영역까지 사업을 확장 중입니다.

✅한국 의료 AI의 쌍두마차

▶ 뷰노(VUNO)

1. 기업 개요 및 비전

2014년 설립된 뷰노는 국내 1세대 의료 AI 스타트업으로, 영상 진단과 생체 신호 분석에 강점을 보입니다. AI 기술을 통해 의사의 진단 보조, 업무 효율화, 조기 질병 탐지 등을 실현하고자 합니다.

2. 핵심 AI 기술

  • VUNO Med 시리즈: 흉부 X-ray, 뇌출혈 CT, 심전도 분석 등 영상 기반 진단
  • AI 심정지 예측 솔루션: 병원 내 심정지 징후를 사전 탐지
  • 음성 기반 EMR 입력 시스템: 의료진의 기록 업무 자동화

3. 최근 성과

  • 서울대병원, 아산병원, 국립의료원 등 주요 병원에 공급 확대
  • 식약처 인허가 획득 수 기준 국내 최다 (AI 의료기기)
  • 중동, 유럽으로 AI 진단 솔루션 수출 본격화

4. 리스크

  • 수익 구조가 아직 불안정 (정부 보험 수가 등 제도적 지원 부족)
  • 병원 내 시스템 통합 이슈 및 법적 책임 소재 문제

▶ 루닛(LUNIT)

1. 기업 개요 및 비전

루닛은 영상 분석 기반의 암 진단 AI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하는 의료 AI 기업입니다. **“AI for cancer care”**를 미션으로, 정확하고 빠른 암 진단을 통해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2. 핵심 기술

  • Lunit INSIGHT: 유방암, 폐암 조기 진단 (X-ray, CT 기반)
  • Lunit SCOPE: 암 병리 분석 및 치료 반응 예측 AI
  • AI 기반 정밀의료 플랫폼: 개인 맞춤형 암 치료 계획 제공

3. 최근 성과

  • GE Healthcare, 필립스 등 글로벌 의료기기 기업과 전략 제휴
  • FDA, CE 인증 보유, 40개국 이상 수출
  • 2025년 기준 해외 매출 비중 70% 이상

4. 리스크

  • 높은 임상 정확도와 글로벌 인증을 확보했음에도, 국내 보험 수가 미비
  • 수익 대부분이 해외 기반 → 외환 및 수출 규제에 민감

✅ 요약: 한국 AI 산업 주요 기업별 차별화 포인트

기업핵심 강점비즈니스 모델
네이버 한국어 초거대 AI, 플랫폼 적용력 B2C + B2B SaaS
삼성전자 AI 반도체·디바이스 최강자 인프라/하드웨어 중심
LG AI 산업 특화 초거대 AI, 그룹 시너지 B2B 내부 고도화 중심
카카오브레인 생성형 AI 상용화 및 콘텐츠 플랫폼 연계 B2C + API 개발자 대상
뷰노/루닛 의료 AI 진단, 병리·영상 분석 전문 병원, 헬스케어 기업 대상 B2B